오자기일기
은유의 눈으로 보는 세상 / 난자기 본문
프랑스의 철학자 리쾨르는 은유가 사용된 문장을 단어가 본래 가진 의미로만 해석한다면 의미가 파괴된다고 한다
은유문장은 "오직 은유적으로 봄"으로서만 그것이 은페하고 있는 새로운 의미를 알수 있고
그 새로운 의미를 통해 비로소 문장의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보들레르의 시에 나오는 "자연은 사원이다"라는 문장은 단어 그자체로만 보면 당연히 비문이 된다
자연은 사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문장을 은유적으로 보면 자연은 사원처럼 신성하다는 의미가 새롭게 드러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자연에 대한 일상적인 의미를 뛰어 넘어 새로운 이해를 얻게된다
리쾨르는 이를 두고 "은유는 일상언어에서 드러나는 것과 다른 현실의 장을 발견하고 열어 밝혀주는데 기여한다"라고 표현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다른 현실의 장을 열어 밝혀준다"는 표현인데
이것은 언어가 세상을 "열어 밝힌다"라는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사유를 은유이론에 적용한 것이다
은유의 힘은 "열어밝힘(開示性)에서 나온다'
시인은 은유를 통하여 단순히 대상을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현실의 장'을 열어 밝힌다
그리고 그 열어 밝힘으로 드러나는 새로운 현실이 보여주는 아름다움, 고결함, 참됨, 위대함, 선함, 정의로움, 새로움 등이
일상과 세상의 진부함을 떨쳐내고, 세상 보는 눈을 바꿔놓는다
호메로스는 <일리아스>에서 구술한 숱한 은유를 통해 트로이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미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마땅히 그렇게 살아야할 다른 현실의 장을 열어 밝힌 것이고
하이데거가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사용한표현을 빌자면
"무엇이 신성하고 무엇이 비속한지, 무엇이 위대하고 무엇이 하찮은지, 무엇이고결하고 무엇이 덕 없는지,
무엇이 주인이고 무엇이 노예인지" 열어 밝혔다
바로 이것이 지난 2800년 동안 일상과 세계의 진부함을 떨쳐내고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눈을 바꿔놓았다
물론 이때 은유가 열어 밝히는 현실은 객관적현실이 아니라 은유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현실 즉 허구이다
그러나 다시 만들어진 현실이 우리의 현실세계를 바꾸어 놓는다는 사실이다
도대체 어덯게 이런일이 가능한가?
하이데거가 그의 <존재와 시간>에서 규정한 "세계"는 객관적 세계, 곧 데카르트나 뉴턴의 물리적, 연장적 시공간이 아니다
인간은 세계를 자신의 '처지에 따라' 이해하고 해석한다
자신앞에 존재하는 개개의 사물을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그것들의 '의미'를 열어 밝히는 인간이 하이데거가 말하는 현존재(Dasein)이고,
그 현존재에 의해 이해되고 해석됨으로 열어 밝혀진 '의미의 집합체가'가 곧 세계이다
그래서 우리의 세계는 개개의 사물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해 우리 스스로 얽어낸 '의식의 그물망'이자 우리 삶이 그려낸
한 폭의 '풍경화'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속성이자 은유가 가진 힘의 비밀인 것이다
따라서 은유또는 시에 의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해석이 바뀐다면 우리의 현실 세계도 바뀔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위해 정일근 시인의 <신문지밥상>이라는 시를 보자
더러 신문지 깔고 밥을 먹을때가 있는데요
어머니, 우리, 어머니 꼭 밥상 펴라 말씀하시는데요
저는 신문지가 무슨 밥상이냐며 궁시렁 궁시렁하는데요
신문질 신문지로 갈면 신문지 깔고 밥 먹고요
신문질 밥상으로 펴면 밥상차려 밥 먹는다고요
따듯한 말은 사람을 따뜻하게 하고요
따듯한 마음은 세상까지 따듯하게 한다고요
어머니 또 한말씀 가르쳐주시는데요
해방후 소학교 2학년이 최종학력이신
어머니, 우리 어머니의 말씀철학
정일근 <신문지밥상> 전문
신문지를 신문지로 해석하고 깔면 신문지 깔고 밥을 먹는 궁핍한 세계가 열어지고
신문지를 밥상으로 해석하면 밥상을 차려 놓고 밥을 먹는 풍요로운 세계가 열어 밝혀진다는 것이다
시인은 대상에 대한 자신의 이해와 해석인 은유 또는 시를 통해 하나의 세계를 열어 밝히는 사람이고
시를 읽는 독자는 그 시의 내용을 '은유적으로 봄'으로써 시인이 열어 밝힌 세계를 다시 이해하여
자신의 세계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으므로 시인과 독자 모두 새로운 세계가 도래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리쾨르가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수용하여 만든 해석학적 은유이론의 핵심이다
'철학까페에서 시읽기 / 김용규' 의 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은 시대마다 재구성 되는가? -미셸 푸코- / 서동욱 (0) | 2015.12.21 |
---|---|
이성 중심적 금욕주의 / 조홍길 (0) | 2015.12.14 |
복조리라면 몰라도 부조리? / 작당이 (0) | 2015.12.12 |
죽지않을 이유 / 수자기 (0) | 2015.12.11 |
반항2 (0) | 2015.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