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자기일기

날자.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 이상 본문

문학

날자.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 이상

난자기 2016. 8. 1. 11:56

우리 부부는 숙명적으로 발이 맞지 않는 절름발이인 것이다.
내나 아내나 제 거동에 로직을 붙일 필요는 없다. 변해할 필요도 없다.
사실은 사실대로 오해는 오해대로 그저 끝없이 발을 절뚝거리면서 세상을 걸어가면 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까?
그러나 나는 이 발길이 아내에게로 돌아가야 옳은가 이것만은 분간하기가 좀 어려웠다.
가야 하나? 그럼 어디로 가나?
이때 뚜우 하고 정오 사이렌이 울었다.
사람들은 모두 네 활개를 펴고 닭처럼 푸드덕거리는 것 같고 온갖 유리와 강철과 대리석과 지폐와 잉크가 부글부글 끓고 수선을 떨고 하는 것 같은 찰나,그야말로 현란을 극한 정오다.
나는 불현듯이 겨드랑이가 가렵다.
아하, 그것은 내 인공의 날개가 돋았던 자국이다.
오늘은 없는 이 날개,머리 속에서는 희망과 야심의 말소된 페이지가 딕셔너리 넘어가듯 번뜩였다.
나는 걷던 걸음을 멈추고 그리고 어디 한번 이렇게 외쳐 보고 싶었다.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이상,「날개」 




금홍이


회사를 그만둔 후 이상은 요양차 갔던 온천에서 기생 '금홍'과 알게 된다. 요양에서 돌아온 이상은 종로1가에 다방 <제비>를 차리고 금홍을 불러 그녀를 마담자리에 앉힌 후 금홍과 동거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다방은 잘 되지 않았고 심심해진 금홍이는 외박을 하는 일이 빈번해진다.[4] 그러자 이상은 "예전 생활에 대한 향수"가 났냐며 금홍을 몰아세웠고 이에 금홍은 가출을 하거나 이상을 때리는 등 저항하였다.[5] 결국 금홍은 몇 번의 가출끝에 이상의 집을 완전히 나가버리고 다방 <제비>는 폐업한다.
그럼에도 금홍을 퍽 사랑했는지 '이런시'에서 금홍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런시 - 이상


역사를하노라고 땅을파다가 커다란돌을하나 끄집어내어놓고보니 도무지어디서인가 본듯한생각이들게 모양이생겼는데 목도들이 그것을메고나가더니 어디다갖다버리고온모양이길래 쫓아나가보니 위험하기짝이없는큰길가더라.
그날밤 한소나기하였으니 필시그돌이깨끗이씻겼을터인데 그이튿날가보니까 변괴로다 간데온데없더라. 어떤돌이와서 그돌을업어갔을까 나는참이런처량한생각에서 아래와같은작문을지었도다.
'내가 그다지 사랑하던 그대여 내한평생에 차마 그대를 잊을수없소이다. 내차례에 못올사랑인줄은 알면서도 나혼자는 꾸준히생각하리다. 자그러면 내내어여쁘소서.'
어떤돌이 내얼굴을 물끄러미 치어다보는것만같아서 이런시는 그만찢어버리고싶더라.


구인회의 사무실에서. 이상, 박태원, 김소운



이상의 소설 '날개' 역시 금홍과의 동거 생활에서 얻은 체험들을 바탕으로 쓴 소설로. 주인공(이상 자신)은 자신의 방에만 틀어박혀 아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도 모르는 채 무능력하게 늘어져 있는 사람으로 묘사된다. 중간에 나오는 '연심이'는 금홍의 실제 이름이다. 이외에도 이상은 사망 직전인 1936년, 금홍과의 만남과 헤어짐을 이야기한 '봉별기(逢別記)'라는 단편을 쓰기도 했다. 이 단편이 마음에 들거든 인디밴드 '가을방학'의 '속아도 꿈결'이라는 노래를 한 번 들어보도록 하자.

제비가 폐업한 직후 이상은 다방 제비에 드나들던 문학가들의 추천으로 1934년 구인회에 가입하여 명사들과 교제하기 시작했으며 박태원의 신문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하융(河戎)' 이라는 가명으로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구인회에서 그는 특히 같은 병을 앓고있던 소설가 김유정과 친하게 지냈다고 하며, 심지어는 동반자살을 권유하기도 했다.[6][7] 한편 이상은 금홍과 헤어지고 다방 <제비>가 망한 후에도 다시 인사동에 카페 <학>, 종로 1가에 다방 <69>을 차례로 개업하여 돈을 벌려 했으나 모두 대차게 말아먹게 된다.[8] 경영에 있어서는 천재가 아니었던 듯. 오죽했으면 어떻게 해야 돈을 벌 수 있냐고 하소연했을 정도. 결국 그 사이 가족들은 빈민촌으로 이사가게 된다.



친구의 초상, 캔버스에 유채 65 x 53cm, 1935년[15]
민음사에서 출간한 이상 단편소설 전집의 표지가 이 그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