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자기일기

대화(2015년 11월 26) 본문

대화

대화(2015년 11월 26)

난자기 2015. 11. 27. 10:41

그룹채팅 - 김도균, 김은용, 박한상, 함상욱 님과 카카오톡 대화
저장한 날짜 : 2015-11-27 10:26:32

--------------- 2015년 11월 25일 수요일 ---------------
[함상욱] [오후 2:57] 누니나리네
바칼옆 샷다집이 그립고나
[박한상] [오후 3:08] 와이리 춥노 날씨가...
[함상욱] [오후 4:28] 바까치가
[박한상] [오후 4:31] 맴이 추우마는
안밖이 따로 엄따
[함상욱] [오후 4:35] 매미바가테인나
[김은용] [오후 4:38] 맘도아수라라서
그런거아이가
[박한상] [오후 5:20] 아수라는
한쪽은 여자
한쪽은 남자의 얼굴을 한 마징가 z 에 나오는
악당아니던가

[김은용] [오후 5:23] 꼭남과여뭐그런기아이고
맴이아슬아슬아수랍다라는뜻일세
[박한상] [오후 5:24] 아수라의 진짜 생김새는 이렇다 하네

전쟁이 끊이지 않는 아수라도에 머무는 귀신들의 왕이다.

아수라는 아소라(阿素羅)·아소락(阿素洛)·아수륜(阿素倫) 등으로 음역되며 수라(修羅)라고 약칭하기도 한다.
원래 고대 인도 최고의 신 중 하나였는데 나중에 제석천과 싸우는 악신(惡神)으로 바뀌었다. 귀신들의 왕으로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이며 아귀의 세계에서 싸우기를 좋아한다고 한다.

세개의 얼굴이 모두 다른 형상인데
하나는 화난 얼굴이고
두번째는 웃는 얼굴이고
세번째는 우는 얼굴이라고 하네



[김은용] [오후 5:26] 솔직한형상일세
애매모호한 그런기아이고
[박한상] [오후 5:47] 본시 악은
애매모호하지가 않고 학실하고 명학하다
반대로 진실은
어정쩡하고 어중간하고 이도저도 아닌 곳에
있단단단다
그랴서 사기꾼은 명학하다


[김은용] [오후 5:49] ㅋ
[박한상] [오후 5:56] 유성이 히야가 말해찌 않는가
눈앞에서 진짜임을 증명하려는 모든 것은 가짜라꼬...
[박한상] [오후 6:05]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말도 그러코
진실은 동사 속에 깃들어 있고
대부분의 악은 명사 속에서 음흉하게 웃고 있다는 말도
그러코...
명확하게 구분되어진 바코드가 바로 악마의 신호라고도 하지
않는가
[박한상] [오후 6:07] 사랑이라는 명사 속에 사랑을 가두면
사랑은 곧 시들어 죽어버리지
사랑은 명사가 아닌 동사 일때가
참인게지
[박한상] [오후 6:15] 그러하여
대강 진리는
흐르고 움직이는 가운데에 깃들어 있네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이고
그래서 흔히 보이지 않고
쉽게 잡히지 않는 이유일세나

[김은용] [오후 6:22] 아수라같네
아슬아슬한 것기도...

[박한상] [오후 6:32] 旗未動 風也未吹 是人的心自己在動

흔들리는 것은 깃발이 아니라
내가 흔들리는 것입니다

내가 흔들리지 않고
시간을 감내 할 수 있다면,

어느 순간
불어오겠지요
바람

나는
가만히
미동도 없이
봅니다
깃발이 흔들리는 걸...
[박한상] [오후 6:36] 오늘 분량 다 채아따
지녁묵자
지녁은 깃발 날리는
용문객잔에서

[함상욱] [오후 7:43] 용문노래방?

------------- 2015년 11월 26일 목요일 ---------------
종운] [오전 10:13] 유성이 히야가누고
전유성?
[백종운] [오전 10:16] 끄덥시시작된방황속에서
나는울었네
우리가차즌거슨무어시고
일은거슨무어신가?
[백종운] [오전 10:25] 진실은은동사마
주어술어의 문장은
비진리가?예를들아
"장미는 꽃이다"캣을때
명사+명사적술어
영어로치마 명사의 형용사적용법이제
이거는 진리가아인모양이지
[백종운] [오전 10:27] 산은 산이요
길은길이다 칼때는?
[백종운] [오전 10:28] 수작이 올 민도했나?
[함상욱] [오전 10:30] 비킷다 이게 진실이다
[백종운] [오전 10:31] 비킷는거 점을 중심으로
인증샷 부탁한다

[김은용] [오전 10:44] 사진
[김은용] [오전 10:44] 눈내리네
[백종운] [오전 10:45] 올 영삼이 히야
발인인데
함가바야 안되나
너들은 서울 있는데 ᆢ
[백종운] [오전 10:46] 그히야
재는 좀 저질럿써도
일은 열씨미했따아이가
[김은용] [오전 10:47] 조은데가시라고기도혔네
[박한상] [오전 10:48] 첫번째 질문 답
전...

두번째 질문 답
차즌건 바칼
일은건 히든

세번째 질문 답
개념화, 관념화 된 모든 것은 명사로 명명이 되는디
그거는 박제화 된 거이고 진실은 대부분 동사속에 이따
라는 말이다
산은 산이요
길은 길이다 는 그냥 문장이다
내가 언급한 거와는 관련이 음따




[박한상] [오전 10:55] 어째뜬 김영삼은 우리 시대의 위인아닌가
그가 그 위치에 설 수 있었던 건 누구 때문인가 하믄....
바로 박정희지
YS는 박정희가 만들어 낸 인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이제
그 사실을 죽으면서도 자기는 몰랐을 거야
지가 잘나서 그리 된 줄 알것지....음
[백종운] [오전 10:59] 벌이 지가살라꼬
꿀을 빨았는데
지 발바닥에 화수분이 묻은줄모리고 ᆢ
그거이 새생명의 잉태인줄모리고 ᆢ
[백종운] [오전 11:00] 벌이 지가 존일하는줄 안것나?
[박한상] [오전 11:00] 봉수는 훈현이 땜시로
그 봉수가 된거라는 거와 같은 말이제
[박한상] [오전 11:20] 유시민이가
밤샘토론에 나와서
한 말이다

"나는 개인의 리버럴 한 다양한 사고가 국가의 시스템 보다 상위개념이라고 본다
내가 이 땅에 태어난 이유가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 따위에
있다면 얼마나 협소하고 옹졸한
스탠스인가"

[백종운] [오전 11:24] 동감이네
[박한상] [오후 12:00] 국민교육헌장 전문(全文)



우리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조상의 빛난 얼을 오늘에 되살려, 안으로 자주독립의 자세를 확립하고,
밖으로 인류 공영에 이바지할 때다. 이에, 우리의 나아갈 바를 밝혀 교육의 지표로 삼는다.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학문과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을 개발하고, 우리의 처지를 약진의 발판으로 삼아,
창조의 힘과 개척의 정신을 기른다.

공익과 질서를 앞세우며 능률과 실질을 숭상하고,
경애와 신의에 뿌리박은 상부상조의 전통을 이어받아,
명랑하고 따뜻한 협동 정신을 북돋운다.

우리의 창의와 협력을 바탕으로 나라가 발전하며,
나라의 융성이 나의 발전의 근본임을 깨달아,
자유와 권리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스스로 국가 건설에 참여하고 봉사하는 국민 정신을 드높인다.

반공 민주 정신에 투철한 애국 애족이 우리의 삶의 길이며,
자유 세계의 이상을 실현하는 기반이다.

길이 후손에 물려줄 영광된 통일 조국의 앞날을 내다보며,
신념과 긍지를 지닌 근면한 국민으로서,
민족의 슬기를 모아 줄기찬 노력으로, 새 역사를 창조하자.

1968. 12. 5

대통령 박정희
[백종운] [오후 12:00] 전체주의 교과서가따
[박한상] [오후 12:05] 당시가 전체주의 였잔수
[김도균] [오후 12:08] 박정희가 유시민이의 스탠스를 넓히는데 일조한 부분도 있다고 보네... ^^
[김도균] [오후 12:09] 대구도 눈발 쪼매 날리네...
[김도균] [오후 12:10] 뒷산소속 산새들의 단체비행이 멋있구만...
[박한상] [오후 12:13] 진심묵어라
오늘의 진심은
중흥탕면이네
민족면발을 하나로 묶어 한 솥에다
집어 넣고

[박한상] [오후 12:18] 일사불란하게 휘저어 주면
면발 깊숙히 반공 우린 물이 쓰며들어
면발 항개 항개가 모두 동일한 맛을 내니
이 아니 맛있을소냐

[김은용] [오후 12:20] 멸공이더어울리겠네
멸치향이빈산저너머까지
[박한상] [오후 12:20] 허
[박한상] [오후 12:20] 글네 멸공으로 할 걸....후회스럽네
[박한상] [오후 12:28] 멸공친일 우린 물이라꼬 하는기 더 맞는디....후회스럽네
[함상욱] [오후 12:33] 03,두화이 무혀니때 청와대 만찬때 이쓰떤일이라카네
03"두화이 니는 와왔노 낄데가 아인데 ,니는 죽어도 핸충언 몬간다아이가 "
두화이,열받아가꼬
"여, 와인 좀 더부바라,.
03"청아대가 술뭉는대가 딴데가 무라"

두화이 문상갓네

누니내리네
[백종운] [오후 12:34] 명바기때라카네
[박한상] [오후 12:35] 두화이가 또라이라도
통은 크다

[박한상] [오후 12:37] 저짜저기 남쪽에 있는 지방하나 쯤은
없애도 상관없다고 땡끄몰아간
진격의 거인 아인가
[백종운] [오후 12:38] 개또나이아이가
[박한상] [오후 12:49] 근디 저 우에 국민교육헌장,
다시 일거보이
문장자체로는 명문은 명문이다
박정희가 직접 쓴건가
선생노릇도 해따카이....
[백종운] [오후 1:02] 뚜껑이 말하는 근대교육의
목적을여실히보여준다
개인의 존재 의미는 민족중흥이라는 사명이고
그 사명을 다하기위해
자기계발하고몸도뜬튼히하고
질서도 잘지키고
협동하고 책임과 의무를 다하여
애국하는기
자유와 이상을 실현하는 길이니
명심하고
묵묵히 따르라ᆢ
역사든 인문학이든
정치든 경제든
위 헌장의 정신으로
하마된다
"하마된다"

중세시대 유일신과 같은
유일무이한 가치체계
명문은 명문이다
[박한상] [오후 1:04] 그려 내용은 그런면이 다분하지만
어째뜬 설득력을 보지한 명문은 명문이제
[백종운] [오후 1:05] 자꾸보지보지카지마라
[박한상] [오후 1:06] 니 속에 음란마귀나 우째해바라
[백종운] [오후 1:07] 어째뜬 설든력있는 명문은
명문이제 이카마되는데
보지보지카이 안카나
[김도균] [오후 1:16] ㅋ ㅋ ㅋ 좀 더 고상해 보이잖아 ^^
[백종운] [오후 1:17] (이모티콘)보지가 고상하나
[박한상] [오후 1:19] 음...난작이가 상상하는 보지와
내 보지는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난잭이 속의 음란마귀 땜시로
보지를 더이상 보지하기가 어려울거 가따

[김도균] [오후 1:21] 정력이 젤 쎈 작이라서... ^^
[함상욱] [오후 1:49] 난자기보지가한문이가
[박한상] [오후 1:50] 아이다 난작이 거는 순우리말이다
[박한상] [오후 1:50] 한문으로는 陰部
[박한상] [오후 1:53] 아가 음탕하이
구멍만 보마는 그걸 상상하는데
민도 하민서 지꺼 보고도 그카는지 시미 궁금타

[박한상] [오후 1:56] 모르긴 몰라도 수작이 니꺼 보고도 그걸로 상상할 소지가
다분타 시커머이 털도 있고....
[백종운] [오후 1:59] 총보지상태
함 들어가볼래
[백종운] [오후 2:00] 교련시간에 배았제
[함상욱] [오후 2:02] 총도구멍있네‥
[함상욱] [오후 2:03] 니말맞나보네
[박한상] [오후 2:04] 총보지네
[함상욱] [오후 2:05] 작작아 청계천이가
춥다
[김은용] [오후 2:06] 허
왔으마연락해야지
[박한상] [오후 2:09] 작작이 집인감?
민우 톡 몬보게 해라
음란의 도가니탕이다 난잭이 땜시로
[김은용] [오후 2:10] ㅋ
[백종운] [오후 2:24] [Daum블로그]
2015년 11월 26일 오후 01:30
[박한상] [오후 2:25] 머꼬?
[김도균] [오후 2:26] 오잉!!
[백종운] [오후 2:27] 너거뜰 글을 블로그에
모다서 정리해볼라꼬
[박한상] [오후 2:28] 조은 생각이네
나도 우리 카톡 글 모다가 책한번 맹글어 보까 생각핸네
[함상욱] [오후 2:31] 맹글어서내무덤에태아도고
[김은용] [오후 2:31] 허
[함상욱] [오후 2:31] 판깔마 몬하는거알제?
[백종운] [오후 2:32] 근데 카톡에 글을 블로그에
우애올리노
[박한상] [오후 2:32] 컨트롤 씨, 브이
[함상욱] [오후 2:32] 의식이 개념을 지배할라깐다
[함상욱] [오후 2:33] 말안코 해노마 자연시러울낀데
니가사간이네
[백종운] [오후 2:35] 그런거엄따
니무덤에 도배해주께
내무덤에는 누가?
[박한상] [오후 2:36] 글 이쁘게 쓸라꼬 낑낑거리게 된다 이말이가?
[함상욱] [오후 2:37] 조만간에 포털에 뜬다
우째 이런대화가 이카민서
[김은용] [오후 2:40] 허
[함상욱] [오후 2:42] 캡쳐 하는노무들 나올끼네
[함상욱] [오후 2:43] 작당이 통민당서 스카웃들올끼고
[박한상] [오후 2:45] 공개하자는기 아이고
소장용이다
[박한상] [오후 2:45] 쓰벙 누니...누니...똥발라네츄
[김은용] [오후 9:33] 꿈이였나

[함상욱] [오후 9:52] 우린 똥이다
꿈이 이나다
삶이 남기는거 남는게 똥ㅈ이다
눈도 내리는 똥
비도내리는 똥

똥 맞고 박고 사는 우리는
똥물 맞는 인생

똥물 마시께 묵자
[박한상] [오후 10:37] ᆢ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2015년 12월 3일)  (0) 2015.12.04
대화(2015년 12월 2일)  (0) 2015.12.03
대화(2015년 12월 1일)  (0) 2015.12.02
대화(2015년 11월 30일)  (0) 2015.12.01
대화(2015년 11월 27일)  (0) 2015.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