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철학 (45)
오자기일기
스스로 눈을 빼내고 왕위에서 물러나려는 오이디푸스와 그를 끌어안고 안타깝게 바라보는 안티고네, 장 안투안 테오드르 지루스트 作,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1788. 죽음을 대하는 윤리적 문제는 사회의 문제이다. 이상적으로 선한 행위는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모든 사회의 구성원이 다 ..
환대의 공동체와 타자의 문제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타자이해를 중심으로 김성민 (현대철학연구자) 1. 주체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이질성 1) 현대철학이 문제 삼고 있는 주제 중에 대표적인 것이 ‘주체’이다. 근대적 주체 개념의 구조에 대한 비판이 현대철학이 갖는 비판점의 중요한 ..
철학자는 플라톤의 경우처럼 격투기선수일 수도 있고 아우렐리우스나 에픽테토스처럼 황제나 노예일 수도 있으며, 스피노자처럼 첨단 과학의 기술자일 수도 있고, 라이프니츠처럼 외교관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목동은 될 수 없는가? 양을 치며 유목하는 민족을 통해 한 종교가 탄생한 ..
[작당이] 불안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과민성 대장증후군 걸리것다 [난자기] 무엇이든 되야 한다고 배운 그 시절에 희망을 일러준 훈계는 복통과 배변장애를 유발하고 몸밖으로 빼내 버리지 않으면 안 될 불량식품 같은 불안을 파묻히게 했다.. 나와비슷한 증상이네 .. [사르트르] 불안이란 ..
왜 이 길을 가야만 하는가 하는 물음은 인과주의적 사고방식에 인이 박혀 그런 거다 이유가 있어 가는 길에는 왜라는 물음은 필요가 없다 만일 그런 의문에 시달린다면 앞에 놓여진 길이 의지의 경계에 서있다는 거겠지 가만히 따지고 보면 지금까지 걸어 온 길이라는 것도 과연 필연으..
민중들의 비합리적 행동양태, 이를 테면 자신의 이익과 오히려 대척되는 정당을 지지한다거나 합당한 근거도 없는 감정적 선호 같은 것을 보면 도스도옙스키의 인간에 대한 성찰이 심오하다는 생각이 든다 애초 선과 악의 구분이 없었다면 감성은 선악과를 따먹게 한 욕망의 근원이고 ..
현 세계의 주류적 조류는 자기에게로의 침잠이다 명상이나 선 같은 수행의 한 방법이 인간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는 근거 없는 믿음이 횡행하고 모든 인과를 개인의 정보체계 내에서 찾으려고 하는 정신심리학이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다 사회와 조직은 구조나 시스템에 회의를 품..